고사성어

여세추이(與世推移)

작성자 정보

  • 인천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후한 환제(桓帝) 때 왕조의 쇠운을 만회하기 위해 천하에 조서를 내려 정의로운 선비를 널리 등용했다. 탁군(琢郡)의 최식(崔寔)이라는 사람도 천거되었으나, 병을 칭하고 천자의 하문에 대한 책(策)을 바치지 않고 벼슬을 사퇴했다. 그리고 정론(政論) 한편을 써서 공표했다.

"대저 성인은 집착하거나 구애받지 않고 세상의 변천에 따라 행동하는 것(與世推移)이나, 범속한 선비는 융통의 재능이 부족하여 마음을 괴롭힐 뿐이므로 시대의 변천에 적응하지 못한다. 그래서 당치도 않은 시세에 벗어난 언설을 하여 나라를 그르치는 일이 있다.
범속한 선비는 예컨데 태고적의 결승(結繩)의 정치(새끼로 매듭을 지어 일을 표시했다)나 간우(干羽)의 춤(하의 우왕이 춤으로써 오랑캐족을 귀순시켰다)으로 세상이 쉽게 다스려지는 것이라고 어느 시대에나 생각하고 있는 모양이다. 예전은 인정도 소박한데다 일이 간단하였으므로 그것으로 좋았지만 지금은 인간의 지혜도 발달하고 일의 줄거리도 복잡해졌기 때문에 예전의 그것으로는 안 되는 것이 자명한 일이다."

※결승:《역경》<계사전 하(繫辭傳 下> 에 '상고결승이치(上古結繩而治)'라 했다. 태고적 사람들이 순박하므로 아직 문자가 없었던 시대에는 다른 사람과 약속하는 일에 있어서 큰 일은 새끼의 매듭을 크게 만들고, 작은 일은 새끼의 매듭을 작게 만들어 잊지 않도록 하여 그것으로 세상이 다스려졌다는 것이다.

※간우:《서경》<대우모(大禹謀)>에 '무간우우양계 칠순유묘격(舞干羽于兩階 七旬有苗格)'이라 했다. 크게 문덕(文德)을 펴 간(干)과 우(羽)를 섬돌에 춤추게 하니 70일 만에 유묘가 이르렀다는 것이다.

[출전]《韓非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